지난 11월 6일, ERICA 본관 2층 PRIME 컨퍼런스홀에서 2024 Best Teacher 시상식이 열렸다. 이번 시상식에서는 Best Teacher뿐만 아니라 강의우수교수, 저명강의교수 시상도 함께 진행됐다. Best Teacher상은 지난 1년간 강의 평가 점수가 가장 우수했던 교수에게 수여되는 상으로, 올해 총 14명이 선정됐다. Best Teacher상 1회 이상 수상을 포함해 강의 우수교수상을 5번 이상 수상한 교수에게 수여되는 저명강의교수상엔 총 2명이 선정됐다. 이기정 한양대 총장은 “수상자 모두를 축하한다”며, “앞으로도 학생들에게 좋은 강의를 해주길 바란다”고 전했다.
시상 구분 | 교원 구분 | 계열 | 소속대학 | 소속학과 | 직위 | 성명 |
---|---|---|---|---|---|---|
Best Teacher |
전임 | 이공계 | 약학대학 | 약학과 | 부교수 | 주재열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컴퓨터학부 | 조교수 | 김범현 | |||
과학기술융합대학 | 화학분자공학과 | 조교수 | 임민경 | |||
인문사회 | 국제문화대학 | 프랑스학과 | 교수 | 김호영 | ||
교육혁신처 | 창의융합교육원 | 조교수 | Amanda Marie Dow | |||
경상대학 | 회계세무학과 | 조교수 | 홍사선 | |||
예체능 | 예체능대학 | 실용음악학과 | 부교수 | 유정연 | ||
영어강의(내국인) | 공학대학 | 전자공학부 | 조교수 | 오세용 | ||
국제문화대학 | 문화콘텐츠학과 | 조교수 | 이진 | |||
경상대학 | 경영학부 | 조교수 | 이길수 | |||
영어강의(외국인) | 국제문화대학 | 영미언어·문화학과 | 부교수 | Oronzo Antonio Venturoso | ||
비전임 | 계열 무관 | 디자인대학 | 산업디자인학과 | 겸임교수 | 황인희 | |
국제문화대학 | 일본학과 | 강사 | 배소연 | |||
교육혁신처 | 학연산클러스터교육팀 | 겸임교수 | 홍지영 | |||
강의우수 교수 |
전임 | 계열 무관 | 약학대학 | 약학과 | 교수 | 남태규 |
약학대학 | 약학과 | 교수 | 하정미 | |||
약학대학 | 약학과 | 교수 | Kevin Kyungsik Choe | |||
약학대학 | 약학과 | 조교수 | 이용구 | |||
약학대학 | 약학과 | 교수 | 유혜현 | |||
약학대학 | 약학과 | 부교수 | 정지은 | |||
과학기술융합대학 | 수리데이터사이언스학과 | 조교수 | 이우주 | |||
교육혁신처 | 창의융합교육원 | 부교수 | 김양희 | |||
교육혁신처 | 창의융합교육원 | 부교수 | 김태경 | |||
공학대학 | 재료화학공학과 | 교수 | 안지훈 |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ICT융합학부 | 부교수 | 고민삼 | |||
과학기술융합대학 | 응용물리학과 | 조교수 | 이미진 | |||
경상대학 | 경영학부 | 교수 | 서환주 | |||
영어강의(내국인) | 국제문화대학 | 영미언어·문화학과 | 부교수 | 황주현 | ||
영어강의(외국인) | 언론정보대학 | 광고홍보학과 | 교수 | Thomas Britten Hove | ||
저명강의 교수 | 전임 | - | 소프트웨어융합대학 | ICT융합학부 | 부교수 | 고민삼 |
교육혁신처 | 창의융합교육원 | 부교수 | 김양희 |
11윌 19일에 발표된 ‘2024 중앙일보 대학평가’에서 ERICA가 종합평가 16위, 교육·혁신대학평가 7위를 기록했다. 올해로 31년째를 맞는 중앙일보 대학평가는 국내 4년제 대학 190여 개 중 △학생 수 △충원율 △교수 연구 실적 등을 종합적으로 고려해 경쟁력이 우수한 62개 대학을 평가 대상으로 선정했다. 종합평가에서 ERICA는 △교육 여건 부문 7위 △교수 연구 부문 23위 △학생 성과 부문 15위 등을 차지해 종합 16위를 달성했다. 교육·혁신대학 평가는 논문 실적 등 교수 연구 성과와 대학의 평판도를 제외한 교육 여건과 학생 성과를 측정한 평가로 이번에 신설됐다.
11월 21일, ERICA와 캐논코리아(주)가 발전기금 전달식을 진행했다. 캐논코리아(주)는 생산 현장 자동화 문제를 검토하고, 아이디어를 탐색하는 과정에 학생들을 참여시켜 실무형 인재를 양성하기 위한 목적으로 전자공학부에 2천만 원을 기탁했다. 이번 기금은 IC-PBL 수업으로 캐논코리아 생산 현장 자동화 문제 해결 과정에 참여하는 학생들에게 필요한 지원금 및 장학금 명목으로 사용될 예정이다. 백동현 ERICA 부총장은 “캐논코리아와의 협업으로 학생들이 더욱 발전된 모습으로 사회에 진출해 사회적 책임을 다할 수 있도록 힘쓰겠다”고 말했다.
11월 20일, ERICA와 대한전문건설협회 철근·콘크리트공사협의회(이하 철·콘협의회), 한국건설기술인협회 건축기술인회의 업무협약식이 열렸다. 세 기관은 △동반성장을 위한 사회적 가치 창출 및 성과 확산을 위한 협력 △기업 수요에 맞는 전문 인력 양성 시스템 구축 △협약기관 간의 실무 교육프로그램 공유 및 산학협력 활성화 △계약학과 설립 및 운영 지원 등을 약속하고 2026년도에 철·콘 업종에 필요한 ‘SMART 건축구조시공 전공’ 조기취업형 계약학과를 추진하기로 했다. 한편, 철·콘협의회에서는 ERICA의 발전을 위한 기부금 1천만 원을 전달했다.
11월 6일, ERICA 글로벌사회혁신단이 안산시, 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와 함께 ‘시화호 30주년 기념 시화호 내 대송습지 환경정화 캠페인’에 참여했다. 이번 캠페인은 시화호 유입 하천의 환경정화 활동을 마무리하는 의미 있는 행사로, ERICA 학생들과 교직원, 안산시 공무원, 안산녹색환경지원센터 직원, 환경단체 관계자들이 참여해 시화호 수변을 청소하고, 하천과 시화호 간의 연계성을 이해하는 시간을 가졌다. 이번 캠페인으로 총 661kg의 쓰레기가 수거됐으며, 지역사회의 협력과 참여를 통해 다양한 주체들이 하나 되어 뜻깊은 성과를 거두었다.
11월 6일, ERICA 컨퍼런스홀 중강당에서 ‘IC-PBL, 더 나은 세상을 위한 도전과 혁신의 질문’을 주제로 2024 ERICA IC-PBL 컨퍼런스가 개최됐다. 이번 컨퍼런스는 IC-PBL이 산학연 혁신을 넘어 지역사회와의 협력, 신생 자율전공학부와의 연계 계획을 함께 논의하고 공유하기 위해 마련됐다. 백동현 ERICA 부총장은 “학생들이 문제를 파악하고 거기에 필요한 이론들을 학습한다는 차원에서 더 넓게 생각할 수 있는 기회를 주는 교육 혁신 방법임을 알 수 있었다”며 “이로써 대학과 지역사회가 협력하는 교육 모델을 만들 수 있을 것”이라고 축사를 전했다.
11월 4일부터 6일까지 제주도 오리엔탈 호텔에서 열린 ‘2024년 전국 대학 발전기금 협의회 동계 세미나’에서 ERICA 소액모금 캠페인 사례를 공유하며 소통의 시간을 가졌다. 이번 세미나에는 80개교, 105명의 담당자가 참여했으며, 협의회 2일 차에는 ERICA 대외협력팀의 최지우, 이성원 직원이 ‘잠재적 기부자 양성을 위한 소액모금 사례’를 주제로 △재학생 기부 서포터즈인 나눔 서포터즈 운영 △하냥동산 건립 과정 △기타 다양한 소액모금 캠페인 사례를 소개하며, 모금 활동의 전반적인 노하우를 공유했다.
ERICA가 2025년 6월 제37차 국제우주대학(International Space University, ISU) 우주 연구 프로그램(Space Studies Program, 이하 SSP)의 개최 장소로 선정됐다. ERICA는 SSP25에 참가하는 150여 명의 참가자들에게 8주간(2025년 6월 ~ 8월) 교육을 위한 강의실, 세미나실, 편의시설 및 숙박시설을 제공할 예정이다. ERICA는 그동안 쌓아온 다양한 국제 학술행사 운영 경험을 바탕으로 SSP25 행사가 성공적으로 진행될 수 있도록 모든 지원을 아끼지 않을 방침이다.
9월 21일, 2024 서울 홈리스 월드컵이 한양대 대운동장에서 개막했다. 홈리스 월드컵은 15세 이상의 노숙자들이 국가를 대표해 경기를 펼치는 글로벌 축구대회로, 2024 서울 홈리스 월드컵은 아시아 지역 최초로 빅이슈코리아와 영국 홈리스 월드컵 재단이 공동 주최·주관하여 개최됐다. 특히 9월 22일에는 ERICA 한재권 로봇공학과 교수가 이끄는 로봇 연구팀 ‘히어로즈’가 개발한 휴머노이드 로봇 ‘앨리스(ALICE)’가 시축을 맡아, 카메라로 공을 인식한 후 자율적으로 공에 접근해 차는 모습을 선보이며 현장에 모인 관객들에게 놀라움을 안겼다.
ERICA 지능형로봇 혁신융합대학 사업단은 9월 19일부터 21일까지 일본 도쿄에서 열린 ‘재팬로봇위크와 미쓰비시전기 기업 현장 탐방 프로그램’을 운영했다. 본 프로그램은 첨단 로봇 기술을 직접 체험하고, 학생들의 글로벌 취업 및 인턴십 등의 기회를 모색하기 위해 기획됐다. 참가 학생들은 일본 도쿄 빅사이트에서 열린 재팬로봇위크에서 다양한 로봇 관련 최신 기술과 트렌드를 파악할 수 있는 기회를 가졌다. 또한, 일본 미쓰비시전기 본사와 동일본 FA 솔루션센터를 방문해 실제 산업 현장을 견학하고, 한-일 간 국제 협력 네트워킹 활동을 수행했다.
9월 10일, 카카오데이터센터에서 ERICA 융합보안대학원사업단과 (주)헥사휴먼케어가 융합보안 분야 사업 협력을 위한 업무협약을 체결했다. 이번 협약에 따라 양 기관은 △융합보안 분야 산학 인재 양성 △R&D 인재 육성 과제 공동 수행 △교육프로그램 개발 및 운영 △정부 재정 지원 사업의 주관 또는 공동 연구개발 참여 △정부나 지자체의 융합보안 교육사업 공동 참여 등 총 5개 분야에서 협력할 예정이다. 이연준 융합보안대학원사업단장은 “지속적인 협력을 통해 융합보안 분야의 R&D 핵심 인재를 양성하는 최적의 시스템을 구축할 것”이라고 밝혔다.
9월 9일부터 10일, 예체능대학 1층 실내체육관에서 ERICA 글로벌 잡 페스티벌(이하 잡 페스티벌)이 진행됐다. 이번 잡 페스티벌에서는 학생들이 다양한 채용 기회와 필요 역량을 살펴보고, 취업 계획을 세울 수 있도록 삼성, 포스코, 네이버 등 20여 개의 기업 인사·채용팀에게 취업 상담과 자기소개서 첨삭을 받을 수 있는 취업 ZONE과 현직 졸업 선배들이 취업 후기를 전하는 졸업선배 ZONE을 운영했다. 또한 △기업 채용설명회 △메타버스 온라인상담회 △유학생 취업상담뿐 아니라, 부대행사로 △취업타로 △퍼스널컬러 진단도 함께 진행했다.
9월 3일, 서산농업협동조합 발전기금 전달식이 진행됐다. 서산농업협동조합은 지역 농산물의 생산과 유통을 지원하며, 농민들의 생산성 향상과 안정적인 소득 보장을 통해 신선하고 안전한 농산물을 공급하는 데 중점을 두고 있다. 서산농업협동조합은 농촌봉사활동 지원금 및 장학금 명목의 발전기금 1천만 원을 ERICA에 기탁했다. 한편, ERICA는 지난 6월 농협중앙회 서산지부·서산농업협동조합과 ‘대학생 농촌일손지원 업무협약’을 체결해 학생들이 농촌봉사활동에 적극적으로 참여할 수 있도록 지원할 예정이다.
박주현 재료화학공학과 교수가 2025년 ‘미국금속재료학회(TMS) EPD Pyrometallurgy Best Paper Award(최고학술논문상)’ 수상자로 선정됐다. 미국금속재료학회(이하 TMS)는 150년 이상의 역사를 자랑하는 세계 최대 규모의 금속재료공학학회로, 약 11,000명의 회원을 보유하고 있으며, 7종의 SCI 저널을 발간하는 권위 있는 학회다. 박주현 교수가 수상한 ‘EPD Pyrometallurgy Best Paper Award’는 TMS가 매년 발간하는 SCI 저널들과 학술대회 프로시딩에 게재된 약 1,500편의 논문 중 건식제련 분야에서 가장 뛰어난 학술적 발견을 이룬 논문에 수여되는 최고 영예의 상이다. 특히 2015년 ‘TMS EPD Pyrometallurgy Best Paper Award’ 제정 이후, 한국 연구자로는 최초 수상이다. 관련 시상식은 2025년 3월 25일, 미국 라스베이거스에서 열리는 제154회 TMS 연차학술대회(TMS 2 025)에서 진행될 예정이다.
심상완 전자공학부 교수팀이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및 노팅엄 대학교와의 공동연구를 통해 고도의 선택성을 갖는 초고속 빛 제어 기술을 개발했다. 해당 기술은 네이처에서 발간하는 세계 권위의 국제학술지 <빛: 과학과 응용(Light: Science & Applications, SCI 상위 2.5%, 영향력 지수 20.6)>에 게재됐다. 연구팀은 “이번 연구 성과는 극 초단시간에서 초고도의 정밀성을 가지고 광신호를 선택적으로 제어할 수 있는 원천기술을 제공하며, 이는 대량의 데이터 처리가 필요한 AI 소자 및 광학칩연결, 레이저 기반 양자컴퓨팅 등 다양한 빛 기반 기술의 새로운 길을 열어줄 것”이라며 기대감을 나타냈다. 본 연구는 한국연구재단 우수신진연구사업, BK21 고신뢰성 에너지용 지능형시스템반도체교육연구단, 한국연구재단 바이오데이터 품질선도센터사업, 한국기초과학지원연구원 R&D 사업의 지원을 받아 수행됐다.
유용재 인공지능학과 교수팀이 주식회사 닷과 Microsoft와 협업해 시각장애인을 위한 시각 이미지 촉각 자동 변환 솔루션인 ‘Dot Vista’를 개발했다. ‘Dot Vista’는 유용재 교수와 주식회사 닷의 산학협력을 통해 공동개발된 제품으로, 점자 그래픽 출력 장치인 ‘닷 패드(Dot Pad)’를 활용해 이미지를 촉각으로 변환한다. 이를 통해 시각장애인들이 물체 형태를 인지하고 학습할 수 있도록 돕는 윈도우 11 CoPilot+ 애플리케이션이다. 해당 성과는 11월 19일부터 21일까지, 온·오프라인으로 진행된 Microsoft 개발자 컨퍼런스 ‘Microsoft Ignite’에서 처음 공개됐다. Microsoft Ignite는 IT전문가, 개발자, 비즈니스 리더들이 최신 기술 혁신과 제품 업데이트를 공유하는 연례행사로, 올해는 AI와 클라우드 혁신을 중점적으로 다뤘다. ‘Dot Vista’는 2025년 2분기에 윈도우 11용 제품으로 출시될 예정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