본문 바로가기
세계적 수준의 연구중심대학을 육성하기 위해 추진하게 된 BK21(두뇌한국21, Brain Korea) 4단계 사업은 2020년 9월부터 2027년 8월까지 총 7년에 걸쳐 추진되는 대형 사업이다. 세계 수준의 지식 창출을 도모하고 연구의 질을 제고하기 위한 사업으로 대학의 가능성과 미래 산업에 기여하게 될 연구단을 육성하는 중책 사업이다. 4단계 BK21 사업 중 혁신인재양성사업은 혁신성장을 선도할 신산업을 비롯해 산업과 사회문제를 해결하는 연구인력을 양성하는 것에 목적이 있다. 지난 12월 지속적인 연구 및 사업운영을 위해 지난 4년간의 성과를 바탕으로 중간 예비 평가가 이뤄졌다. 그 결과 한양대는 양캠퍼스 합산 14개 교육연구단이 선정되어 전국 최다 교육연구단을 보유하게 됐다. 또한 향후 584억 원의 국비와 연간 30억 원 이상의 대학원 혁신지원비를 제공받게 된다. ERICA는 그중 7개의 교육연구단이 선정되며 산학협력의 강점을 보유한 연구중심대학으로 그 역량을 증명했다. ERICA에서 선정된 7개 교육연구단과 연구단별로 축적해 온 성과를 요약해 본다.
기업 수요 맞춤형
고급 전문인력 양성

고신뢰성 에너지용 지능형 시스템반도체 교육연구단

  • 단장 노정진 교수(전자공학과)
  • 참여 교수 12명
  • 참여 대학원생 74명
교육
  1. IC-PBL+ 강좌 32개 개설, IC-PBL+ 현장통합형 강좌 16개 개설(목표 대비 100% 달성)
  2. 중국 하남사범대와 복수학위제 시행(23년 8월 석사 공동학위 학생 최초 배출)
  3. 영어논문 작성역량 함양을 위해 <영어논문작성워크숍>개설, Univ. of Michigan-Dearbon과 연계한 영어캠프 총 3회 운영
62

총 배출 인력
취업률 98.1% 달성

연구
  1. SCI논문 108건, 특허 53건
  2. 교육연구단 논문 IF 평균 사업 초기 대비 309% 증가
  3. 매 학기 B K 연구발표회(ICONIC 워크숍)를 통한 우수 참여대학원생 선정 및 인센티브 지급
  4. 국제화를 위한 해외대학, 기관과의 장단기 해외연수 · 국제 인턴십, 국제 공동연구 총 29건

DC 그리드에너지혁신
연구센터 등

134개 정부 과제

약 196억 원 연구비 수주

산학
  1. ERICA 학연산 클러스터 입주 4개 기관 · 기업과의 매월 정기 공동 교육프로그램 운영
  2. 기업 및 연구소 반도체 관련 전문가 100인 Pool 확보
  3. 국내외 산업체와의 공동연구 및 기자재 공동활용 총 134건, 인적 · 물적 교류 74건, 기술 자문 102회, 세미나 137회 수행

국내외 기업과
산학 공동연구 과제 수행

34억 원 규모(64건)

7.6억 원 기술이전

첨단기술 기반 미래 환경 변화
예측 및 대응 융합형 연구자 양성

기후-해양환경-재해 스마트 대응 융합 인재양성 교육연구단

  • 단장 예상욱 교수(해양융합공학과)
  • 참여 교수 8명
  • 참여 대학원생 42명
교육
  1. IAB 활용 교과 총 10과목 제공
  2. 문제 해결형 교육 프로그램 IC-PBL+ 고도화 총 24과목, 100% 달성
  3. 취업위원회 구성을 통한 취업률 증가, 94%(학기별)
IC-PBL+
100
% 달성

(총 24과목)

연구
  1. 기후-해양환경-재해 문제 해결 분야 301편 논문, 출판 논문 66건, 358건 국제 학술대회 발표 수행, 국내 학술대회 29회 수상
  2. 첨단 기법 활용 진단과 예측 능력 개발 및 연구 체제 구축
  • 해양-대기연구소
  • 미래 해양 연구소
  • 탄소 순환 연구센터
  • 안산 녹색환경센터
국제화
  1. 참여 대학원생 장 · 단기 해외 연수 프로그램, 총 15명
  2. 11개 해외 연구기관 및 대학 교와 양방향 국제 공동연구
  3. 3개 해외 대학과 MOU 체결, 지속가능한 연구 협력 네트워크 고도화
  • CSRIO
  • NASA
    (기후변화 프로그램)
  • 오레곤주립대
    (지구-해양-대기과학)
  • 메릴랜드주립대
  • 동경대
의료진단, 치료기술의 혁신성장을
선도할 실용인재 양성

바이오나노인텔리전스 교육연구단

  • 단장 성기훈 교수(생명나노공학과)
  • 참여 교수 18명
  • 참여 대학원생 88명
교육
  1. 바이오헬스 산업체 연계 IC-PBL+ 강의 50% 이상 확대
  2. 융합전공 내 학과 간 교육 과정의 횡단(Cross-linking)을 촉진

단계별 · 분야별

(바이오나노, 나노, 바이오, 바이오-AI)

융합교과 이수 체계 수립

연구
  1. Q1 비율 선정 당시 대비 107% 향상
  2. 평균 IF 153% 향상
  3. 평균 보정 IF 125% 향상
114% 향상

상위 10% 이내 논문

산학
  1. 산업체 협력 연구개발 실적 170% 증가
  2. 국내 특허
    116건 출원, 48건 등록, 114% 증가
  3. 국제 특허
    31건 출원, 27건 등록, 385% 증가
  4. 바이오헬스 기술 사업화
    ((주)케어포유, (주)쎄오바이오,(주)에이치투에너지)

바이오헬스 분야
원천기술 개발
기술이전 금액

195%증가
세계 수준의 융합전공 확립을
통해 소재 · 부품 · 장비 산업 발전 선도

ERICA 소재부품융합 첨단제조장비 혁신인재 교육연구단

  • 단장 오제훈 교수(기계공학과)
  • 참여 교수 29명
  • 참여 대학원생 158명
교육
  1. 융합전공 참여대학원생 졸업자 취업률 86% 달성
  2. 산업밀착형 창의/실용적 문제해결 교육강화(IC-PBL+) 32강좌
  3. Global IC-PBL+ 6강좌 운영
  4. 국내외 학술대회 499편, 발표우수상 36편
24

장단기 해외파견

165

국제 학술지 게재

연구
  1. ERICA-ACE 융합센터 지원 기반 글로벌 파트너 랩 운영(40개), 공동연구 교류 협약(27건)
  2. 국제 공동연구 논문 게재 총 120편 - 275% 증가
ERICA-ACE
산학
  1. 산학협력에 의한 기술이전 30건 발생 및 12.8억 원의 기술이전료 창출
    → 15.7배 성장
  2. 산학협력 재직자 교육 확대 협의회 42건 / 재직자 교육 70건

기술이전료

15.7배 성장
스마트시티 분야
연구 경쟁력 제고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융합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 단장 태성호 교수(건축학부)
  • 참여 교수 20명
  • 참여 대학원생 99명
교육
  1. 스마트시티 IC-PBL+ 교육 프로그램 활성화 목표 128% 달성
  2. 마이크로 융합전공체계 마련
  3. IAB 연계 전공 교과목 개선 시스템 구축
VR

스마트시티 교육 시스템 등
교육 인프라 혁신

연구
  1. Aliance 기반 국제 공동연구 활성화 목표 174% 달성
  2. 논문 IF 146%, FWCI 206% 상승
113%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연구센터
활성화 목표 달성

산학
  1. 산학연계 체계 구축 및 연계 교과 프로그램 활성화
  2. 참여교수 특허 등록 건수 292% 상승(38건)
225

지속가능 스마트시티 연구센터
멤버십 기업

산업과 사회의 문제를 혁신적으로
해결하는 실용인재 양성

학연산기반 지능형 차세대 사물통신 실용인재 양성 교육연구단

  • 단장 남해운 교수(전자공학과)
  • 참여 교수 13명
  • 참여 대학원생 62명
교육
  1. IC-PBL+ 누적 21과목
    (M 유형 11과목, 전체 51%)
  2. 융합원 마이크로 융합 전공 누적 6과목
  3. 산학협력 교육과정 4과목 개설 운영
중국 및 대만 대학
MOU

석사 및 박사 복수학위
국제 공동지도 프로그램 운영

연구
  1. SCI 국제저명학술지 누적 183편 중 상위 10% 논문 81편(전체 논문 44% 차지)
  2. HCP 10편 논문 선정
  3. 유연 학기제 : 집중 강의 이수제 4과목 운영
2024 HCR

교육연구단 소속
Jun Zhang 교수

산학
  1. 국내 특허 145건 출원, 95건 등록
    국제 특허 205건 출원, 89건 등록
  2. 글로벌 기업과의 산학협력 체계 구축 - 인력양성 교육 프로그램(실습형/장학형) 운영
  3. IAB를 통한 산업계 수요 학과 교육과정 반영

기술이전

20

기술이전료

14.4억 원
4차 산업혁명 대응
첨단 소재 혁신 성장 선도

학연산클러스터기반 첨단소재 융합교육 연구단

  • 단장 김종렬 교수(재료화학공학과)
  • 참여 교수 17명
  • 참여 대학원생 149명
교육
  1. 첨단소재 분야 교육체계 개편
    (스마트 센서, 반도체, 3D 프린팅 트랙 38개 융합 교과)
  2. 학연산 클러스터 기반 산학 연계 강화
38개
융합교과

(스마트 센서, 반도체, 3D 프린팅 트랙)

연구
  1. 참여교수 총 110건 특허 등록(국제 특허 30건)
  2. 216건의 SCI 논문 게재 및 463건의 학술대회 발표
  3. 참여 대학원생 국제 등록 30건을 포함한 총 105건의 특허 등록
Top 3% 54편

총 358편 논문 발표
평균 IF 6.4

산학
  1. 기술이전 7억 원 및 창업 4건 13개국과 총 31건의 연구원 파견 및 MOU 체결
  2. 지역산업 문제해결 위한 127건의 산업체 공동연구, 127건의 공동 SCI 논문 게재
  3. 현장 중심의 실무 교육과 기술적 지원 - 재직자 교육 74회, 기술 자문 258회
16개국 78건

국제 공동연구